올 여름철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온열질환 발생 신고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 온열질환은 방치하면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, 미리 증상과 대처법을 숙지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지요. 이 글에서는 온열질환에 대한 모든 것을 Q&A 형식으로 상세히 안내하여, 건강한 여름을 보내는 데 도움을 드리려 합니다.

Q&A로 알아보는 온열질환
Q1: 온열질환은 무엇이며,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?
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, 우리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합니다.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열사병: 40℃ 이상의 고열, 의식 저하, 발작, 혼수상태, 땀이 나지 않는 건조한 피부
- 열탈진 (일사병): 심한 피로감, 어지럼증, 두통, 구토, 근육 경련, 과도한 땀 배출, 창백한 피부
- 열경련: 근육 경련 (주로 팔, 다리, 복부)
- 열실신: 일시적인 의식 소실, 어지럼증
- 열부종: 손, 발, 발목 부종
- 열발진 (땀띠): 붉은 뾰루지 또는 물집 (목, 가슴, 사타구니 등)
Q2: 응급처치 방법은 무엇인가요?
온열질환 종류에 따라 응급처치 방법이 다릅니다.
- 열사병:
-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.
-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.
- 옷을 느슨하게 풀고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식힙니다.
- 얼음주머니를 목, 겨드랑이, 사타구니에 대어 체온을 낮춥니다.
- 의식이 없는 경우, 음료를 먹이지 않습니다 (질식 위험).
- 열탈진:
-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겨 휴식을 취하게 합니다.
-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합니다 (이온음료가 도움 될 수 있음).
-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합니다.
-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면 의료기관 진료를 받습니다.
- 열경련:
- 시원한 곳에서 휴식합니다.
-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합니다 (이온음료가 도움 될 수 있음).
-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마사지합니다.
- 경련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응급실을 방문합니다.
- 열실신:
-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겨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.
-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둡니다.
- 의식이 있을 경우, 물을 천천히 마시게 합니다.
- 열부종:
-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겨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.
- 부종이 발생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둡니다.
Q3: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은 무엇인가요?
온열질환은 간단한 생활 수칙을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.
- 시원하게 지내기:
- 샤워를 자주 합니다.
- 헐렁하고 밝은 색의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.
- 물 자주 마시기:
-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십니다.
-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:
-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합니다.
- 매일 기온 확인하기:
- 기온, 폭염특보 등의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.
Q4: 온열질환 발생 시 신고해야 하는 곳은 어디이며, 연락처는 무엇인가요?
온열질환으로 응급 상황 발생 시,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.
- 재난신고: 119
- 범죄신고: 112
- 민원상담: 110
-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: 044-205-1541~3
- 질병관리청: 043-219-2953
Q5: 온열질환에 취약한 사람은 누구이며,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?
온열질환에는 특정 연령이나 질병을 가진 사람들이 더 취약합니다.
- 노인: 체온 조절 기능 저하, 만성 질환 보유
- 어린이: 체온 조절 기능 미숙
- 만성 질환자 (심혈관 질환, 당뇨병, 신장 질환 등): 질병으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
- 정신 질환자: 약물 복용으로 인한 체온 조절 기능 저하
- 비만인 사람: 체온 조절의 어려움
- 야외 근로자: 장시간 고온 환경 노출
이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.
- 폭염 시 낮 시간대 외출 자제: 특히 12시~17시 사이
- 수분 섭취: 규칙적으로 물, 이온음료 등을 섭취
- 건강 상태 확인: 활동 강도 조절, 휴식
- 주변 사람의 관심: 온열질환 증상 발생 시 즉시 대처
폭염 속 건강, 스스로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!
온열질환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, 미리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 안내해 드린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.






'지혜로운 요즘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 독서포인트제 신청법,조건 꿀팁 완벽 정리 (6) | 2025.07.11 |
---|---|
[속보] 2025년 7월 8월 주택 전기세 할인 (누진세) 신청방법 : 평균 1만8천원 내린다 (7) | 2025.07.10 |
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720만원+α 혜택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(4) | 2025.07.09 |
모바일 엠세이퍼 간편 신청 방법 : 명의도용 방지 (5) | 2025.07.08 |
멀티탭 화재 원인, 예방법부터 : 멀티탭소화패치 추천까지 (5) | 2025.07.08 |